해외에서 창업을 한다? 모두가 한번쯤은 생각해보았을 법한 매력적인 꿈일 것이다.
누군가는 꿈으로 남겨둔 채 지나갈 것이고 누군가는 계획해서 해내고 있을 것인데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만 하는가? 자 공부 또 공부 독학해보도록 하자
1. 비지니스 준비
1) 아이템 선정과 시장 조사
먼저는 자신의 비지니스에 대한 아이디어와 플랜을 구체화 시키는 것이다.
그 첫 발걸음은 아이템 선정에 있다. 아이템을 선정하는 것에 있어 시장조사는 포괄적 개념으로 와닿을 수 있지만 구체적으로 들여다보면 다음과 같이 추려내볼수 있다.
- 산업
나의 아이템이 산업과 얼마나 맞물려 있는가
대중들의 반응과 트랜드는 어떠한가 사회적 분위기를 고려할 때 전망이 있는가
- 타겟 층 (수요)
많은 사람들이 레드오션이라 말하며 하지말라고 이야기 할지라도, 레드오션은 곧 수요가 뒷받침 되어짐을 증명하는 것이다. 타겟층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.
- 경쟁사
어떤 경쟁사들과 내가 경쟁해야하는 것인지 벤치마킹이 가능한지 현업에 있는 업체를 파악하고 모델링 또는 차별화 전략을 세워야 한다.
- 지역
지역은 곧 생산성이다. 지역구에 따른 타겟층의 소비성과 경쟁업체 등을 고려할 때 나에게 생산되어지는 현금흐름이 얼마나 되어질 지를 예상하고 파악해야한다.
- 자금 조달
아이디어는 있지만 돈이 없어 시작을 못한다라는 이야기들을 많이 하지만 실제로는 은행이나 투자기관 등을 통하여 창업을 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. 어디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지 파악해야 한다.
List of designated organizations – start up visa - Canada.ca
www.canada.ca
온타리오의 메인 투자자 벤처캐피탈, 엔젤 인베스터 등 정보 참고
- 비지니스 네이밍, 상표
비지니스 네임에 대하여 가볍게 생각하였다가 피 본 사례들이 많다. 창업한 시간이 꽤 지난 나중에라도 혹 비지니스 이름이 겹치거나하여 소송에 휘말릴 수도 있다. 지적재산권과 비지니스 네임에 관한 법은 꼭 먼저 준비할 수 있도록 한다.
2) 비지니스 타입
먼저는 자신의 아이템과 창업의 방향이 어떠한 타입과 적합한 지를 대조해본다.
Sole proprietorship (개인 사업자)
- Easy to set up , sole owner of the business : sole decision maker
Tex - personal income, personal loss (개인 소득세 신고시 같이 보고) 삼만불 이하는 텍스신고(HST)를 아니해도 됨.
Partnerships (동업 사업자)
- 2명이나 그 이상의 공동 사업 , 창업절차가 개인 사업자와 동일
Corporations (법인 주식회사)
- 법인을 통한 사업 운영
- 법인 설립 : 먼저 서비스 온타리오에서 BIN을 등록, 그 다음 연방 CRA에서 넘버드 컴퍼니 또는 이름을 등록하고 텍스 또는 수입수출 어카운트, 페이롤 어카운트 등 자신에게 필요한 계정을 등록 할 수 있다.
-그 밖에 자신의 아이템의 따른 Licences and permits 신청 : https://www.bizpal.ca
Co-operatives (협동 조합)
3) 비지니스 플랜
아이템 선정과 비지니스 타입이 정해졌다면 반드시 해야하는 것이 비지니스 플랜을 준비하는 것이다.
은행이나 기관 등에서 투자를 받거나 영업하여 거래를 할 때 등 비지니스 플랜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.
비지니스 플랜이란 말 그대로 사업계획서를 말하는 것인데, 사업체가 어떠한 누구인지를 확연히 정의하고 어떻게 수익을 낼 것인지를 문서화 하는 것이다. 사업계획서의 틀은 다음과 같다.
- 비즈니스 개요: 회사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시장에서의 입지
- 영업 및 마케팅 계획: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영업 및 마케팅 전략입니다.
- 운영 계획: 비즈니스 운영의 물리적 측면에 대한 설명
- 인적 자원 계획: 주요 직원, HR 정책 및 절차에 대한 세부 정보
- 실행 계획: 향후 2~3년 동안 비즈니스의 계획된 실행
- 실행 요약: 사업 운영 요약과 함께 자금 조달을 원하는 이유에 대한 요약.
- 재정 부록: 계획에서 언급한 내용을 뒷받침하는 사실과 수치.
2. 비지니스 시작하기
아이템선정과 비지니스 플랜이 완성되었다면 다음 창업의 절차는 앞 언급과 같이
먼저 정부사이트에 자신의 비지니스를 신고하는 것이다.
1.Business name registration
주정부 사이트 https://www.ontario.ca/page/ontario-business-registry
Ontario Business Registry
The Ontario Business Registry allows businesses and not-for-profit corporations to complete over 90 transactions online, including registering, incorporating, and updating their information.
www.ontario.ca
위 주정부 사이트에서 먼저 자신의 사업체에 맞는 유형으로 Ontario business Identification(BIN)을 등록한다
2. CRA사이트에 비지니스 사업자넘버를 받는다.
Business Registration Online – Register - Canada.ca
4. Register If you are a business owner or a third party requester Register now If you are a representative with a RepID Enter Business Registration Online (BRO) through the Represent a Client service. Registrations provided by Business Registration Onlin
www.canada.ca
3. 자신의 창업 유형에 맞는 프로그램 계정을 등록한다
- HST account
- Corporation income tex
- payroll account
- Import/export account
등등 사업체 오픈 후 추후에 필요에 맞게 등록하는 것도 가능하다.
4. 창업 업종에 맞는 라이센스나 퍼밋 등을 체크한다.
https://services.bizpal-perle.ca/
BizPaL - PerLE
services.bizpal-perle.ca
5.필요하다면 웹사이트와 소셜 미디어 등도 함께 세팅
SNS와 웹사이트 등이 왜 중요한지는 이미 아실 것이다.
3. 비지니스 운영하기
시작 단계의 모든 준비를 다 마쳤다면,
이제 모든 것을 운영에 초점을 맞추어 생각하고 법률과의 싸움을 시작한다.
운영 중 신경써야만 하는 법률 들은 다음과 같다.
- legal obligation(법적 의무)
- taxation (과세)
-Employment(고용)
- standard act (표준)
- Insurance (보험)
4. 폐업까지 생각하라
비지니스를 닫게 될 경우는 크게는 두가지이다.
다른 업체에게 내 비지니스를 팔게 될 경우, 그리고 망해서 파산신청을 하게 되는 경우이다.
어떻게 폐업할 것인가를 미리 고민하는 것 또한 창업 준비의 한 부분이다.
만약 개인은 하나의 SIN이므로 개인사업자나 동업으로 사업체를 열었을 경우는 매매가 불가능하지만,
법인사업체는 매매 자체가 가능하다. Bankruptcy를 할 경우 크레딧에 크나큰 영향을 미침으로 다음 비지니스를 열기는 무척이나 어려운 일이 될 것이다.
재고나 인테리어 또는 여러가지 이미 투자한 것이 있다라면 폐업시는 또한 리스크관리로 생각하며 접근해야 할 것이다.
5. 리스크 플랜을 세워라
위와 같은 맥락으로 법적인 위험요소들을 관리하며 플랜을 잡을수 있어야한다.
1. 법적 위험의 잠재적 요인들 파악할 것
2. 가능성과 규모에 따라 각 법적 위험을 예상하면서 우선 순위를 정한다.
3. 각 리스크에 대한 원인과 시발점을 먼저 파악하여 구체적인 대처 방안을 개발 한다.
4. 대처 방안을 실행한다.
5. 항상 복기하며 피드백한다.계획을 다시 업그레이드 시칸다.
'토론토일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캐나다 절세 투자 계좌 총정리: TFSA, RRSP, FHSA 뭐가 다를까? (1) | 2025.05.07 |
---|---|
요기 베어 젤리스톤 파크, 나이아가라 : Yogi Bear's Jellystone Park, Niagara Falls (0) | 2024.08.01 |